“화, 화・・・,화장지 좀・・・사, 사세・・・요 ・・・”
하루는 화장지를 한 아름 안은 판매원이 생식원 문을 열고 들어섰다. 무거운 짐을 들고 이 집 저 집 팔러 돌아다니는 모습이 안쓰러워, 차 한 잔 드릴 테니 잠깐 앉으라고 권했다. 그리고 남편에게 가서 지금 들어온 남자분이 말을 좀 더듬는데, 어떻게 도와줄 방법이 없는지 상담을 해주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심장이 굳으면 혀도 굳는다
가평에 있는 장애인 공동체에서 산다는 그분은 첫 마디가 잘 안 떨어지는 말더듬이 증상을 보였다. 말 한마디를 꺼내려면 어찌나 힘겨운지, 혀에 힘을 바짝 주는 모습에 마주하고 있는 사람도 덩달아 힘들었다.
그분과 몇 말씀을 나누고 난 남편이 커피를 진하게 타오라 해서 밥 숟가락으로 가득 떠 넣어서 한 잔을 타주었다. 그리고 팔 굽혀 펴기를 하게 했다.
그분은 그저 하라는 대로 구령에 맞춰 팔굽혀펴기를 하고, 힘이 들면 잠시 쉬었다가 다시 또 커피 한 잔을 마시고 팔 굽혀 펴기를 반복했다.
약 40분 동안을 그렇게 한 뒤 “힘드세요?" 하고 남편이 묻자"아이고, 힘드네요!" 하고 단번에 첫 마디가 터져 나왔다. 순간 우리셋 모두 서로 놀라 쳐다보았다.
그분은 "아니 세상에, 내가 27년 만에 말문이 터졌네요! 이게꿈입니까, 생십니까?" 하며 한참을 흐느껴 울었다.
말더듬이 증상은 혀를 관장하는 심장과 소장의 경락이 굳어서 혀끝까지 에너지가 못 미쳐서 혀가 굳는 것이다. 따라서 심장을 영양 하는 쓴맛의 커피를 마시고 팔 굽혀 펴기를 하면 호전반응이 있다. 팔꿈치는 심장 경락이 지나가므로 팔꿈치에 자극을 주어 심장에 곧바로 힘을 보내는 것이다.
그분은 그날 집에 돌아가서 몸이 많이 뻐근했을 것이다. 27년간이나 심장 경락이 굳어져 있던 몸을 한 시간도 안 되어 풀었으니 말이다. 갑자기 말문이 터지게 되었으니 얼마나 믿기 힘들었을지. 진한 커피를 마시면 좋아지는 것을 알았으니 혹시 혀가 굳는 증상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았다면 커피를 즐겨 마셔서 속 시원하게 말하고 사시길 바란다.
혀에 좋은 음식 - 증상별 음식 처방
혀의 상태를 보고도 오장육부의상태를 알 수 있는데, 혀에 나타나는 각 증상에 따라 섭취해야 하는 육미(六味)가 약간씩 다르다.
● 혀 백태가 끼고 입이 쓰고 입맛이 없다
간과 쓸개가 허약하거나 신맛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시고 고소한 음식을 먹으면 효과가 난다. 레몬차, 유자차, 과일주스, 요구르트를 차지 않게 마신다. 식사 전이나 식사를 하면서 포도나 딸기, 귤을 한 두 개 먹으면 침이 나오고 입맛이 돈다. 팥밥이나 팥죽도 아주 좋으며, 밀가루 음식을 맵지 않게 먹고, 달지 않은 빵이나 식빵을 먹는 것도 좋다. 육류는 닭고기가 좋고 계란반숙이나 계란찜도 도움이 되는 음식이다. 증상이 좋아질 때까지 달고 매운맛은 피한다.
● 혀에 붉은 반점이 있거나 혓바늘이 돋는다
혀심장과 소장이 허약하거나 쓴맛이 부족할 때, 또는 심장에 열이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커피, 영지차, 치커리차, 우롱차 같이 씁쓸한 차를 마시면 좋아진다. 우롱차, 녹차, 결명자차는 쓴 맛이 많이 필요한 어린이의 입맛에 잘 맞는 차이다. 그런데 혓바늘이 돋았을 때 짠맛을 먹으면 심장을 압박해 증상이 더 심해지니 짠 음식은 삼가도록 한다.
● 혀가 자꾸 말리며 발음이 잘 되지 않는다. 혀끝이나 중간이 갈라져 있다
심장이 힘들 때나 기운이 많이 빠졌을 때 혀끝까지 심장의 에너지가 오지 못해서 나오는 증상이다.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는 커피, 녹차, 치커리차, 우롱차, 쑥차 등 쓴맛의 차를 진하게 마시면 금세 혀가 잘 돌아가고 발음이 똑똑해진다. 팔굽혀펴기를 10번 정도 하면 더 효과가 있다. 힘들어서 혀가 말리는 증상이 나오면 혀를 많이 돌려본다. 심장에 활력이 생기고 발음도 잘 된다.
또한 혀가 갈라지는 증상도 쓴맛을 많이 먹으면 피가 돌면서 갈라진 혀 세포가 엉켜 붙는다.
체질적으로 심장이 허약한 사람은 평소에 짠맛보다는 쓴맛 음식인 수수밥, 수수부침, 수수떡, 도라지, 더덕, 상추, 쑥갓, 씀바귀, 쑥, 고들빼기, 자장면 등을 많이 먹고 포도주, 커피, 녹차 등도 많이 마신다.
● 혀가 쭉 늘어지거나 말이 많아진다
위장과 대장이 많이 허약하거나 몸에 긴장시키는 매운 기가 부족하면 혀가 늘어진다. 그리고 절제력이 없이 말이 많아진다. 고정하는 단맛의 기와 단단하게 하는 매운맛의 기가 부족해 세포가 흐물흐물해지고 늘어나 있으면 뇌 세포도 역시 그런 상태가 되어 자율신경이 통제가 되지 않으니 행동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달고 매운 음식을 집중적으로 많이 먹으면 효과가 있다. 쌀밥이나 현미를 많이 넣은 밥을 먹고, 달고 매운맛의 반찬과 국으로 식사하되 증상이 좋아지면 육미를 골고루 먹는다.
신맛이나 쓴맛의 음식은 위장과 대장의 힘을 풀어지게 하여 혀가 더 늘어지게 돼 자기도 모르게 말을 더 많이 하게 되니 자제하도록 한다.
'동양의학 육미섭생법 > 육쾌하게 먹어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에 좋은 음식 - 증상별 음식 처방 (0) | 2023.02.15 |
---|---|
통증 육미로 빨간 불을 끄다 (0) | 2023.02.15 |
이와 잇몸 소금이 최고의 치약이다 (0) | 2023.02.15 |
코에 좋은 음식 -증상별 음식 처방 (0) | 2023.02.15 |
입에 좋은 음식 - 증상별 음식 처방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