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같은 기계도 시동을 켠 뒤 자동차 내부의 엔진 등 여러 기관들이 일정한 온도에 올라야만 비로소 모든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한다. 이처럼 우리의 머릿속도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두뇌가 부드럽게 돌아간다.
뇌는 90%가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세한 신경 세포와 혈관이 퍼져 있는데, 머릿속이 따뜻해야만 혈관이 막히거나 굳지 않고, 굳지 않아야 두통이 생기지 않는다. 머리가 아픈 건 우리가 미처 모르는 사이에 머릿속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따뜻하지 않아 오는 것이며, 오장육부로부터 조달되는 육미의 기운 중에서 어느 것인가 부족해서 오는 비상경계 신호라고 할 수 있다.
● 앞머리나 이마가 아픈 경우
찬 음식을 먹어서 위장이 식었거나 과식하여 위장이 힘들거나 체했을 때 앞머리나 이마가 아프다. 위암 환자들이 특히 앞머리나 이마가 아픈 것을 많이 호소하는데, 이는 위장이 굳어서
혈액 순환이 잘 안되어 위장에서 시작하여 올라온 위장 경락이 지나는 앞머리까지 아픈 것이다. 그러므로 무조건 따뜻하게 모자를 쓰고 몸을 움직여서 열을 내야 근본적으로 위가 좋아지고 따라서 전두통도 사라진다. 또 위장을 영양 하는 단맛을 충분히 먹어주면 좋다.
앞머리나 이마가 아프면 일단 모자를 쓰고, 생강차 2봉에 흑설탕을 듬뿍 넣어 따뜻하게 마신다. 배가 부른 상태이면 더 먹지 말고, 꿀이나 흑설탕을 1~2 밥숟가락 먹거나 사탕을 3개 정도 먹고 가벼운 운동을 한다. 다음 식사를 굶거나 양을 반으로 줄여야 두통에 계속 시달리지 않는다.
빨리 좋아지려면 모자를 쓰고 운동을 한 후 뜨거운 물에 5분정도 발을 담그고 씻는다. 핫팩을 이용하거나 핫팩이 없는 경우에는 수건을 배 부분에 대고 적당히 온도를 맞춘 다리미로 잠깐 배를 따뜻하게 하면 곧 좋아진다. 헤어드라이어로 앞머리와 위장부위를 5~10분 정도 따뜻하게 쐬는 것도 응급 시 좋은 방법이다.
● 뒷머리, 정수리, 골이 아픈 경우
짠기가 부족하여 뇌 속에 물기와 소금기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경우이거나 신장, 방광, 자궁의 힘이 빠져서 척추 및 신경선이 유연하지 못하고 굳었을 때, 특히 여성의 경우 자궁에 힘이 빠지는 생리 기간에 많이 아플 수 있다. 또는 머리와 뒷목 부분에 냉기가 많이 들어가 몸이 추울 뒷머리와 윗머리가 아프다.
이럴 때는 먼저 모자를 쓰고 신장과 방광을 영양하는 짠맛을 보충해 주면 씻은 듯이 낫는다. 그래도 아프면 몸을 더 따뜻하게 한다.
다시마와 멸치를 넣어 끓인 물에 막소금을 짭짤하게 타서 하루 2~3회 마시거나, 커피에 소금을 티스푼으로 1숟가락 타서 마시거나 소금을 따로 조금씩 나누어 먹는다. 또 진간장에 참기름을 떨어뜨려 반 종지 정도 마시고 따뜻한 물을 마시면 일시에 두통이 사라진다.
짠 것을 먹고 허리를 좌우로 천천히 10번씩 돌리고 발목도 좌우로 10번씩 돌리면 짠 기가 신속하게 몸에 스미고 열이 나서 효과가 더욱 좋다. 헤어드라이어로 뒷목 부위와 머리 윗부분에 5분 정도 따뜻한 바람을 쐬어주면 통증이 더 빨리 없어진다.
● 양 옆머리 또는 한 쪽만 아픈 경우
간과 쓸개의 경락이 머리의 관자놀이(양 눈 옆 움푹 들어간 자리)를 지나는데 신맛이 부족해서 머리 부위의 세포가 부드럽지 못해 근육이 땅기거나 간과 쓸개에 힘이 빠져 에너지가 못 미치면 편두통(偏頭痛)이 생긴다.
이럴 때는 모자나 두꺼운 수건을 쓰고 간과 쓸개를 영양하는 신맛 음식을 먹으면 낫는다. 요구르트 3개를 따뜻하게 데워 식초를 조금 타서 마신다. 레몬차나 비타민C를 먹어도 좋다. 오렌지 주스나 포도 주스를 데워 식초를 타서 마셔도 되고, 신맛 음식인 닭고기 국물을 맵지 않게 하여 2~3번 마셔도 좋다. 단, 과일이나
야채를 먹으면 위장이 차가워져서 두통 해소에 도움이 안 되니 삼가는 것이 좋다.
목 돌리기 운동을 하면 효과가 더 빨리 난다.
● 미릉골이 아픈 경우
미릉골 통증은 기운이 쇠약해졌거나 정신을 과도하게 썼을 때 신경선인 심포와 삼초경락이 지나는 관자놀이가 아프거나 심하면 양 눈썹을 연결하는 능선까지 아픈 두통이다.
우선 머리가 따뜻하게 모자를 쓰거나 머플러를 두르고, 심포와 삼초를 영양 하는 떫은맛인 요구르트를 데워 마시든지 가볍게 몸을 푸는 운동을 한다.
신경을 많이 써서 통증이 심한 경우는 기혈 순환이 잘 되도록 식사량을 줄이고 생명력을 북돋는 식품을 먹는데 떫은맛의 대표곡식인 옥수수, 녹두, 조를 넣은 따뜻한 죽을 먹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걷는 운동이나 깊이 들이마시고 내쉬는 호흡에 맞춰 양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운동을 수시로 하면 두통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걷기는 기운이 없거나 운동을 부담스러워하는 사람이 가볍게 할 수 있는 운동으로 권한다. 양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운동은 생명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으로 피와 에너지가 모였다 퍼졌다 하므로 전신으로 피를 돌려 순환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좋은 운동이다.
● 전기가 오는 듯 극도로 아픈 경우
여간해서는 쉽게 낫지 않는 두통으로, 기력 즉 생명력이 많이 빠졌을 때나 신경을 극도로 예민하게 썼을 때 오는 극두통(極頭痛)이다.
이 두통은 우선 두뇌를 쉬고 심기를 안정해서 머릿속에 켜진 전원 스위치를 꺼야 한다. 모자를 따뜻하게 쓰고 단전호흡을 해서 기운을 내린 뒤 요구르트 2~3개를 따뜻하게 데워 마신다.
몸을 따뜻하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면 곧 좋아질 수 있지만 머리를 많이 쓸 경우 생명력이 떨어지면 다시 아프다. 그러므로 평소에 식사를 따뜻하게 하되 속이 좀 빈 듯해야 머리 속의 혈액순환도 원활해지니 소식을 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먹어서 좋아지려고 하기보다는 운동을 하여 몸 속으로부터 열을 내고 전체의 기혈을 돌려놓는 것이 급선무이며 극두통을 낫게 하는 가장 중요한 해결책이다.
'동양의학 육미섭생법 > 육쾌하게 먹어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통, 부인병에 좋은 음식 - 증상별 음식 처방 (0) | 2023.02.15 |
---|---|
통증 육미로 빨간 불을 끄다 (0) | 2023.02.15 |
혀 쓴맛을 봐야 풀린다 (0) | 2023.02.15 |
이와 잇몸 소금이 최고의 치약이다 (0) | 2023.02.15 |
코에 좋은 음식 -증상별 음식 처방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