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과 방광을 영양 하는 음식은 짠맛, 고린내 나는 맛입니다.
고린내는 잘 익은 녹용에서 나는 맛이고 동물의 생식기에서 나는 냄새입니다. 당연히 신장·방광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 오징어가 고린내가 납니다.
짠맛의 대표적 곡식은 콩입니다. 신장과 방광은 오행 상으로 수에 속하고 오색은 검은색입니다. 검은콩이 신장과 방광에 좋을 것입니다. 흔히 약방에서 쥐눈이콩 약콩이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또 콩은 그 속성이 뜨거워서 티베트의 높은 산을 오르는 사람이 검정콩에 발을 담그고 비비면 동상이 걸리지 않습니다. 콩의 수기가 피를 부드럽게 잘 순환시키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밤은 껍질이 떫고 속은 약간 짠맛이 있으나 그 정도가 약합니다. 수박은 지린내가 납니다. 오래전부터 한방에서는 이뇨제로 수박을 사용해 왔습니다. 그러나 요새는 품종이 개량된 탓에 지린내보다는 단맛이 강해서 별 효과가 없는 듯합니다. 어쨌든 수박의 94% 이상이 수분으로 되어 있어 우리 몸의 수분 조절에 도움이 되는 모양입니다.
다시마가 아주 짭니다. 한방에서는 해대라고 이름 지어져서 아주 유용한 짠맛 약재로 쓰입니다. 장 청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일본에서는 장 청소부라는 별명도 있다고 합니다. 변비에 효과가 있습니다. 짠맛과 다시마에 있는 끈적끈적한 성분이 장 속에서 대변에 섞여 변이 매끄럽게 빠져나오는 데 도움을 주는 모양입니다. 미역이 짠맛입니다. 아기를 낳은 산모는 미역국을 먹습니다. 고기가 귀하던 시절 아기를 낳은 후 힘이 빠져있는 자궁을 영양 하기 위하여 미역국을 먹게 했던 모양입니다. 미역국은 소고기를 넣고 끓여야 제맛이 납니다. 토극수로 중화시키기 위한 그것으로 생각합니다.
각종 해초류가 짠맛이 있습니다.
김이 짠맛입니다. 어떤 유명한 김밥은 생밤에 소금으로 조금만 간을 하고 역시 생김에 주먹으로 멋도 없게 손으로 꾹 눌러 잡아서 만들었습니다. 김의 독특한 맛을 살린 기막힌 방법입니다. 파래가 짠맛입니다. 파래도 바다에서 나온 채소라 바닷속의 짠 기를 흡수해서 신장과 방광을 영양 하는 음식이 된 것입니다. 물은 오행상 수이며 소금 역시 오행상 수입니다. 또 신장·방광은 오행상 수입니다. 파래, 미역, 김 모두 검정에 가까운 색깔을 상품으로 칩니다. 역시 검은색은 오색 중 수에 해당합니다.
육류로 대표적인 것은 돼지입니다. 그중에서도 껌정돼지를 최고로 칩니다. 역시 산후 자궁에 힘이 없어 고생하는 산모에게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짠 기가 부족하면 뼛속이 비고 마치 뼛속에서 찬 바람이 나오는 것 같다고 표현합니다. 돼지 족에 검정콩을 넣고 끓여서 먹기 바랍니다. 호주에 사는 어느 여성이 아이를 낳은 후 뼛속에서 바람이 솔솔 나오고 등과 허리가 아파 도저히 잠도 잘 수 없을 만큼 통증이 심하며 머리털이 숭숭 빠진다고 어찌했으면 좋겠냐고 물어온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돼지 뼈를 구해 콩을 넣고 끓여 먹으라고 처방했는데, 처방대로 먹은 지 이틀 만에 통증이 거짓말처럼 가셨으며 서양 의사인 남편이 신기해했다고 합니다. 돼지 뼈는 소뼈나 그 외 다른 동물의 뼈와 달리 부드러워서 개에게 먹이로 주면 뼈까지 다 먹어버릴 정도입니다. 돼지의 모든 것이 수기 운이기 때문입니다. 또 돼지는 다산의 상징입니다. 신장과 방광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해삼은 '바다의 삼'이라는 이름 그대로 우리의 몸을 보해줍니다. 단 해삼은 벼와 같이 놓아두면 눈 녹듯 녹아버린다고 동의보감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벼가 토극수하기 때문입니다.
각종 동물류의 신장과 방광이 곧 사람의 신장과 방광을 영양 합니다. 신장은 우리의 귀처럼 생겼습니다. 곧 신장·방광은 귀를 영양 합니다. 그래서 귀가 나쁜 사람은 신장·방광을 주관하는 짠맛을 먹어야 합니다.
개구리가 짠맛입니다. 지구상에 있었던 지각 변동과 기후 변화에도 개구리는 살아남았다고 합니다. 그만큼 생명력이 강하다는 뜻입니다.
동물의 생식기가 짠맛입니다. 동물의 생식기를 먹으면 정력에 좋다고 합니다. 해구의 신이 정력제로 이용되는 이유입니다. 해구는 바닷속에 사는 동물이니 먹어보지 않아도 짠맛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뱀은 정력에 좋다고 합니다. 보통 한번 교미를 시작하면 48시간 동안 서로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 성기가 두 개나 됩니다. 그러나 신장·방광이 좋다고 해서 무조건 다 정력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사람이 건강하고 힘이 좋은 것은 오장육부가 균형 있게 잘 순환되어야 하고 또 그래야 정력도 좋아지는 것이므로 무조건 정력에 좋은 것만을 추구할 일이 아닙니다.
새우젓이 짠맛입니다. 바다에서 나온 생물을 소금에 절였으니 짠맛이 나는 건 당연합니다. 돼지는 새우를 먹으면 죽습니다. 그런데 흔히 돼지고기를 먹을 때 새우젓을 찍어 먹습니다. 그러면 소화가 잘 됩니다. 돼지는 짠맛이면서 육지에 살아 양기가 강한 동물이고 새우는 바다에 살아서 짜고 음기가 대표적으로 강한 생선이라 서로 극이 되어서 그렇다고 설명합니다. 일리가 있는 말입니다. 그러나 돼지고기는 수(水)입니다. 돼지고기를 과식했으면 수를 극하게 하는 흑설탕 물을 한 잔 먹어보기 바랍니다. 한결 소화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소고기를 먹고 체하면 신맛을 먹으면 됩니다. 요구르트가 시고 떫게 발효된 것이니 좋습니다. 회를 먹고 체하면 쓴 커피를 마시기 바랍니다. 물론 찬 회로 차가워진 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소주를 조금 넣고 먹으면 더 좋습니다.
닭을 먹고 탈이 나면 매운맛의 생강차를 먹기 바랍니다. 물론 이 모든 음식은 우선 위장에 부담을 주지 말아야 합니다. 흑설탕은 달아서 위장에 좋고, 요구르트도 설탕이 들어 있어서 역시 약간은 달며, 커피에는 설탕을 타야 좋겠고, 생강차도 단맛이 약간 있으니 위에 부담이 가지 않을 것입니다.
소금에 살균 소염 효과가 있음은 누구나 아는 일입니다. 또 피부의 각질 제거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짠맛이 피부를 연하게 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소금을 목욕 제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먹는 게 더 좋습니다. 소금의 수기가 내 몸 구석구석까지 마치 각질을 제거하듯 노폐물을 씻어내고 균을 죽일 것입니다. 그러나 역시 과도하면 좋은 균도 죽일 수 있으니 주의할 일입니다. 미국의 어느 박사는 '염분 섭취를 줄이면 혈관을 수축시켜 심장마비 발생률을 높이는 호르몬이 증가한다'라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두유는 콩을 원료로 만든 음료입니다. '콩가루 집안'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콩의 잘 뭉치지 않는 성질을 표현한 말입니다. 그래서 두유는 혈액 순환에 문제가 있는 현대병과 콜레스테롤이 많은 사람에게 좋다고 합니다. 그러나 심. 소장이 허약한 사람은 주의할 일입니다.
치즈는 우유를 발효시켜 만든 음식입니다. 어떤 것은 고린내가 진동하여 도저히 맨입으로는 먹을 수 없을 정도입니다. 서구인들은 매운맛, 짠맛을 양념으로 보충하기보다 자연으로 만들어진 음식에서 주로 보충합니다. 치즈는 서구인들에게 부족한 짠맛을 보충해주는 훌륭한 음식입니다.
녹용은 수사슴의 성장 중인 뿔을 일컫는 말입니다. 녹용의 질이 좋은가 나쁜가를 구별하는 방법의 하나는 냄새를 맡아보는 것입니다. 좋은 녹용은 고린내가 은근히 심합니다. 건강한 남녀의 성기 근처에서도 고린내가 납니다. 역시 녹용은 신장과 방광을 영양 합니다.
사슴뿔은 겨울을 보내고 이른 봄이 되면 자연히 떨어지게 됩니다. 이를 녹각이라고 합니다. 역시 짠맛이 나는 음식입니다.
'동양의학 육미섭생법 > 육미섭생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심포·삼초(저항력, 생명력) (0) | 2022.10.31 |
---|---|
19.심포장 삼초부 (0) | 2022.10.31 |
신장 방광 주관하는 증상 (0) | 2022.10.31 |
17.신장 방광 (1) | 2022.10.31 |
16. 폐장 대장 주관하는 음식 (0) | 2022.10.28 |